美 상원의원, 중국산 전기차 배제 주장
2024-04-14 05:13
0
152
이 글의 짧은 주소  https://evdang.com/articles/427

11월 재선을 앞두고 엄중한 도전에 직면한 바이든 대통령은 캐피톨 힐의 유력 의원으로부터 중국의 전기차 제조업체들을 아예 미국 시장에서 배제할 것을 촉구 받고 있다. 유럽으로의 전기차 대량 수출을 지적하며, 그곳에서 매 다섯 대 중 한 대가 중국에서 온다고 한 오하이오주의 상원 고위 의원이 목요일 백악관에 공개적으로 호소했다.

'관세로는 미국 제조업 공략을 막기 부족하다. 따라서 미국은 가능한 한 빨리 중국산 전기차를 금지해야 한다. 이는 경제적·국가 안보적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라고 상원 은행위원회(Senate Banking Committee) 의장 셰러드 브라운(Sherrod Brown)이 밝혔다.

브라운이 언급하지 않은 것은, 유럽으로 향하는 중국산 전기차 급증의 주범 가운데 하나가 테슬라(Tesla)라는 사실이다.

미국에서 중국산 자동차에 부과하는 25% 관세가 없었다면, 엘론 머스크(Elon Musk)가 상하이(Shanghai) 공장에서 캐나다(Canada)로 현재 수입하고 있는 모델 3(Model 3)과 모델 Y(Model Y) 자동차를 미국으로도 수입할 가능성이 크다.

11월 선거를 앞두고 내부적으로 미국이 점차 자유 시장 원칙에서 멀어지는지, 아니면 중국이 규칙에 기반한 질서를 이용해 이득을 취하는 것으로 믿기 시작하는지를 두고 논쟁이 일고 있다.

브라운은 민주당(Democratic Party)의 보호주의 입장에 서 있으며, 노동자에게 해를 끼친다고 비판한 불공정 무역 협정에 반대한 자신의 과거 결정을 자랑스럽게 여긴다.

1993년 오하이오주 대표로 처음 하원에서 북미자유무역협정(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에 반대표를 던진 그는 5년 전에야 지지할 수 있는 무역 협정을 처음으로 만났다고 말했다.

더 중요한 것은 오하이오주에 위치한 그의 상원 의석이 11월 선거에서 경쟁을 벌일 34석 중 하나라는 점이다.

브라운은 산업 녹슬지대(Rust Belt)의 심장부이자 2016년과 2020년에 트럼프(Donald Trump)가 승리한 오하이오주에서 4번째 임기를 위해 출마한다.

자동차 제조업은 국가 제조업의 건강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다.

소비의 최정상에 있는 이 산업은 철강, 고무, 플라스틱, 화학 및 전자 산업에 속하는 하청업체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수천 명의 노동자를 고용하는 대형 공장들은 전통적으로 중산층을 육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이 중산층이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한다.

따라서 GM이나 포드(Ford), 스텔란티스(Stellantis)와 같은 회사의 문제는 더 큰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 내 자동차 일자리 한 개가 11개의 다른 직업을 떠받치고 있다.'고 브라운은 덧붙였는데, 이는 제조업 노동자들을 대변하는 단체인 아메리칸 매뉴팩처링 얼라이언스(Alliance for American Manufacturing)에서 나온 수치이다.

중국은 약 15년 전 태양광 패널 산업에서 행한 것처럼, 전기차 분야에서 비슷한 위협을 제기하고 있다.

당시, 독일(Germany)은 태양광 전지 생산 분야의 세계적 선도국으로, 석탄을 주로 사용하는 전력망의 탄소 배출을 줄이려는 일환으로 노력하고 있었다.

베이징(Beijing)이 이 산업을 전략적으로 중요하게 여기고 나서는, 중국은 신속하게 대규모 경제에 도달하려 국가적 자원을 총동원하고 비용 경쟁에서 우위를 점해 경쟁자들을 눌러버렸다.

머스크와 트럼프는 모두 세계 최고 수준의 중국 전기차 산업에 대해 경고했다.

비판가들은 중국이 거대한 고용 시장, 반대 목소리 진압 능력, 산업 오염 및 환경 규제를 대부분 무시함으로써 서양 경쟁자들을 밑돌고 자신들의 자유 시장에서 이길 수 있다고 지적한다.

'오하이오 주민들은 중국이 자국 기업에 불법적으로 보조금을 주어 우리 노동자들의 일자리를 빼앗고 철강부터 태양광 제조에 이르기까지 산업 전반을 약화시키는 것을 너무나 잘 알고 있다.'고 브라운이 강조했다.

'우리는 중국 정부가 지원하는 부정행위가 미국 자동차 산업에 침입하는 것을 방관해서는 안 된다.'

포춘(Fortune)은 백악관과 중국 대사관으로부터의 반응을 요청했다.

※이 기사는 Fortune.com 원문을 바탕으로 작성됐으며, 번역은 포춘코리아 소속 AI기자(GPT-4 활용)가 도왔습니다.

/ CHRISTIAAN HETZNER & 육지훈 기자

https://www.fortunekorea.co.kr/news/articleView...
첨부 파일
안녕하세요 사이트 운영자 입니다.
하루에 글 하나! 댓글 하나!
목록
1 전체공지2025년 5월 Cars & Coffee EV 14차 모임 설문 입니다
EVDang 5 80 | 2025-04-27
경북 김천에 2028년까지 ‘전기차 튜닝 안전센터’ 건립
모빌맨 13 | 2025-05-12
정부, 2028년 메가와트충전시스템(MCS) 도입…“주유소 가듯 5분 내 완충”
모빌맨 13 | 2025-05-12
1 고속도로 휴게소 ‘테슬라 NACS’ 충전기, 80기 이상 구축된다
눈빛마음 39 | 2025-05-04
도로 위 쇳덩이에 부딪힌 전기차 택시서 불…열폭주 추정(종합)
모빌맨 32 | 2025-05-03
여객선마다 상방향 물 분사장치 보급…여객선 전기차 화재 대응에 4.5억 투입
모빌맨 103 | 2025-05-03
1 [이벤트] 전기 충전 요금 할인
1 46 | 2025-05-02
2 전기차 화재 오히려 적어
눈빛마음 30 | 2025-04-28
1 르노, 전기차를 하이브리드로 바꾸는 솔루션 제안
모빌맨 1 44 | 2025-04-25
1 [타보고서] 기아 EV4, 전기차=SUV 공식 깼다
모빌맨 2 564 | 2025-04-25
1 日 전기차 충전 표준 '차데모', 미 무역 협상 뇌관으로 부상
모빌맨 2 45 | 2025-04-24
단독LG전자, 전기차 충전기 사업 종료…냉난방공조 집중
모빌맨 31 | 2025-04-24
1 '국내최대' 전기차 충전소, 스타트업이 지었다…킨텍스서 개소식
모빌맨 7 81 | 2025-04-21
1 글로벌 전기차 격전지 中 '상하이모터쇼'…신차 100대 공개
모빌맨 27 | 2025-04-21
1 제네시스, ‘엑스 그란 이퀘이터 콘셉트’ 및 ‘GMR-001 하이퍼카 실차 디자인 모델’ 공개
모빌맨 3 43 | 2025-04-20
1 "전기차가 불안하다고?"…현대차, 캐즘 대안 '차세대 하이브리드' 공개
모빌맨 31 | 2025-04-20
1 '중국산 전기차'에 도청 기능이?…충격 보고서 공개됐다
모빌맨 33 | 2025-04-18
1 '전기차 보조금' 벌써 동났다...20개 지자체, 예년보다 한달이상 조기 마감
모빌맨 27 | 2025-04-15
1 현대모비스, 전기차 배터리셀 발화 시 자동 진압하는 기술
모빌맨 42 | 2025-04-14
1 제너럴모터스 캐나다 전기차 생산공장 가동 일시 중단, "재고 조정 위한 것"
모빌맨 29 | 2025-04-14
1 중국, 전기차 화재 위험에 지하주차장 출입 금지 조치 확산
모빌맨 26 | 2025-04-12
1 美 전기차업체 루시드, 파산한 니콜라 공장·설비 인수하기로
모빌맨 26 | 2025-04-12
1 전기차 구독 충전 'EVSIS패스'의 이상한 요금체계....하루만 사용해도 한달치 요금 폭탄
모빌맨 34 | 2025-04-11
1 BYD, 초고속충전(1,000 V) HanL/TangL 3만불대 시작가로 출시
Und3r9r0unD 2 53 | 2025-04-10
1 전기차, 더 싸지나…보조금 더 받고, 기간도 연장
모빌맨 39 | 2025-04-10
1 車·부품업계에 정책금융 2조원 추가 공급…전기차 보조금 확대
모빌맨 22 | 2025-04-09
1 BMW, 신형 iX 및 i5의 주행거리 향상
Und3r9r0unD 40 | 2025-04-09
1 BYD, 저가형 Seagull EV 중국에서 56,800위안 (한화 약1,140만원) 입니다.
Und3r9r0unD 23 | 2025-04-09
1 BMW 코리아, 순수전기 그란 쿠페 ‘뉴 i4 eDrive40’ 국내 출시
Und3r9r0unD 86 | 2025-04-09
1 루시드 ‘그래비티’, 드디어 일반 고객 인도 임박…4월 말부터 본격 출고
Und3r9r0unD 83 | 2025-04-09
1 맥라렌, 전기차 스타트업 '포 세븐'과 합병… SUV 시장 진출 '정조준'
Und3r9r0unD 24 | 2025-04-09
1-30 of 219